혹시 "밀물은 달이 바닷물을 당겨서 생기는 것"이라고만 알고 계셨나요? ❌ 정답은 맞지만, 반대편 바다에도 밀물이 생기는 이유를 설명할 수 없다면 절반만 아는 겁니다.
밀물과 썰물, 즉 조석 현상은 달의 인력과 지구-달 시스템의 원심력이 완벽하게 합작하여 만들어내는 자연의 대서사시입니다. 핵심 원인 두 가지를 먼저 확인하고, 아래에서 자세히 원리를 파헤쳐 보겠습니다!
| 구분 | 발생 위치 | 핵심 원리 |
|---|---|---|
| 첫 번째 밀물 | 달과 마주 보는 바다 | 달의 강력한 인력 (바닷물을 직접 당김) |
| 두 번째 밀물 | 달과 정반대편 바다 | 지구-달 공전의 원심력 (바닷물이 뒤로 밀려남) |
1. 당신의 바다 궁금증, 오늘 확실히 해결해 드립니다
바닷가에 가면 항상 보게 되는 밀물과 썰물. 갯벌 체험을 하거나 낚시를 가도 물때표(조석표)를 꼭 확인해야 하죠. 이 바닷물의 움직임은 마치 거대한 숨을 쉬는 것처럼 하루에 약 12시간 25분 간격으로 규칙적입니다.
하지만 문득 이런 궁금증이 생깁니다.
"달의 인력 때문에 생긴다면, 왜 달이 지구를 완전히 한 바퀴 도는 24시간마다 한 번이 아니라, 12시간마다 두 번씩 물이 차오르는 걸까?"
이 질문의 해답 속에는 우리가 몰랐던 지구와 달의 역학적인 비밀이 숨겨져 있습니다. 지금부터 그 오해를 시원하게 풀어드리겠습니다!
2. 두 개의 힘이 만들어낸 두 개의 물덩이
밀물 썰물의 진짜 원리를 이해하려면, 달이 지구를 끌어당기는 힘뿐만 아니라, 지구 자체가 움직이는 방식을 함께 보아야 합니다.
1️⃣ 달의 인력: '직접 당기기'로 첫 번째 물덩이 형성
달의 중력(인력)은 지구 전체에 미치지만,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위치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게 됩니다.
- 가장 강한 곳: 달과 가장 가까이 마주 보는 곳의 바닷물은 달의 인력을 가장 강하게 받아 달 쪽으로 솟아오릅니다. (우리가 직관적으로 아는 바로 그 밀물입니다.)
- 딱딱한 지구 본체: 그 중간에 있는 지구의 땅(본체)도 달 쪽으로 살짝 끌려갑니다.
![]() |
| 달의 인력과 지구-달 공전의 원심력 |
2️⃣ 원심력: '뒤로 밀려나기'로 두 번째 물덩이 형성
자, 이제 달과 정반대편에 밀물이 생기는 이유입니다. 이 현상은 지구와 달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움직인다는 점을 이해해야 명확해집니다. 가장 헷갈리는 부분이기도 한데요. 달은 지구를 당길 때, 바닷물만 당기는 게 아니라 지구의 단단한 땅(본체)까지 통째로 끌어당깁니다.
- 공통 질량 중심: 지구와 달은 두 천체의 무게 중심인 '공통 질량 중심(Barycenter)'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하며 공전합니다.
- 지구 본체의 움직임: 달이 지구 전체를 끌어당기며 달 쪽으로 살짝 움직입니다.
- 뒷면 바닷물의 뒤처짐: 이때 달과 가장 멀리 떨어진 바닷물은 달의 힘을 가장 약하게 받습니다. 마치 달 쪽으로 움직이는 지구 본체에 비해 바닷물이 그 자리에 '뒤처지거나' '남겨지는' 것처럼 바깥쪽으로 밀려나는 현상이 생깁니다.
결국 지구에는 달의 당기는 힘과 뒤로 밀려나는 현상에 의해 앞뒤로 두 개의 거대한 물덩이가 동시에 부풀어 오르는 것입니다.
3. 12시간 25분 주기의 비밀과 태양의 파워
지구 양쪽에 물덩이가 만들어졌으니, 그다음은 지구의 자전 차례입니다.
1️⃣ 하루 두 번 만조의 이유
지구가 하루(24시간)에 한 바퀴 자전하면서 우리는 앞뒤로 생긴 이 두 개의 물덩이 아래를 지나가게 됩니다.
- 만조 (밀물): 물덩이 아래를 지날 때
- 간조 (썰물): 물덩이 사이의 얇은 부분을 지날 때
2️⃣ 달보다 멀지만 영향력 있는 태양의 역할
태양은 달보다 훨씬 멀지만, 워낙 거대해서 달의 절반에 가까운 조석력(인력)을 지구에 미칩니다. 이 태양의 힘이 달의 힘과 합쳐지거나 상쇄되면서 조차가 달라집니다.
| 현상 | 발생 시기 | 조건 | 결과 (조차) |
|---|---|---|---|
| 사리 (큰 물때) | 보름달(망) / 그믐달(삭) | 달, 지구, 태양 일직선 | 조차가 가장 큼 (최대 밀물, 최소 썰물) |
| 조금 (작은 물때) | 상현달 / 하현달 | 달, 지구, 태양 직각 배열 | 조차가 가장 작음 (최소 밀물, 최대 썰물) |
4. 🌊 실생활 꿀팁, 이제 물때표가 보입니다!
이 원리를 알고 나면, 갯벌 체험이나 낚시를 할 때 보게 되는 물때표(조석표)가 더 이상 복잡하게 느껴지지 않을 겁니다. 물이 가장 많이 들어왔을 때(사리 만조)와 가장 많이 빠졌을 때(사리 간조)를 파악하고, 안전하게 바다를 즐겨보세요!
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추천🌙 밤하늘의 달빛은 왜 은은하게 빛날까?
✅ 오늘의 핵심 해결 방법
밀물은 달의 인력과 원심력, 두 힘이 합쳐져 지구 양쪽에 물을 부풀게 하고, 지구가 그 아래를 자전하며 지나가기 때문에 발생한다!



0 댓글